forsterite-16-79d1

항목 카테고리가 미정의 상태입니다.
페이지 콘솔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세요.

전차사격통제장치

송유섭

머리말

현대 전차의 기본요소는 그림 1과 같이 화력(Fire power), 기동성(Mobility), 방호력(Protection)으로 구분되며, 화력의 주된 요구성능은 정확성, 치명성 및 빠른 대응속도이다.

이들 중에서 정확성 및 대응속도는 사격통제장치의 성능에 크게 좌우되며 전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사격통제장치가 필수불가결하다.

viewimage.php?id=20b4dc2ff5dd34af&no=24b0d769e1d32ca73cec87fa11d0283141b58444220b0c04398cc92aeed806eff2129068574f379a44df5346db938b53a1f929e3f002873d0adc4db9333f1fb67154a835

사격통제장치는 표적을 명중시키기 위하여 LOS(Line Of Sight, 조준선)와 LOF(Line Of Fire, 사격선) 사이에 옵셑(Offest, Prediction Angle)을 주기 위한 것으로 탐색ㆍ추적 장치(Acquistion and Tracking System), 사격통제계산장치(Fire Control Computing System)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전차사격통제장치의 발달, 구성장비 및 그 개발추세에 대해 알아본다.

1. 전차사격통제장치의 발달

가. 전차사격통제장치의 출현

전차는 1차대전 중인 1916년 영국군이 프랑스 전선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이때 전차는 거리에 따른 초고각(Super-elevation)을 주어 사격하는 것으로서 장갑으로 보호된 상태에서 적 진지를 파괴함으로써 전투의 기동성을 확보하는 보병지원용 장비로 인식되었고 전차사격통제장치는 별로 중요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2차대전 전차의 기동성을 이용한 독일의 전격전 개념이 위력을 발휘하고, 또한 전차의 화력을 이용한 돌파전(Break-through) 내지는 보병ㆍ포병과의 협동전 개념이 나오면서 전차는 단순한 보병지원용 장비가 아닌 지상전의 필수병기로 인식되었으며 이 때부터 서방각국의 육군은 강력한 전차를 보유하기 위하여 열띤 경쟁을 벌이게 되었고 보다 효율적인 전차사격통제장치의 개발에 주력하게 되었다.

2차대전 후 주행 중의 사격(Firing on the move), 높은 초탄명중률(High First-round Hit Probability) 및 전천후작전능력 등을 포함하는 군의 요구는 전차사격통제장치의 개발에 결정적 요인이 되었고, 이 개발은 약 40년전에 시작되어 1세대 및 2세대 사격통제장치를 거쳤으며 결국 최신의 방향지시기형 사격통제장치가 개발되었다.

특히 안정장치의 출현은 주행 중의 사격을 가능하게 하였을 뿐아니라 전차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안정장치는 조준기 및 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사격통제장치와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여기서는 전차사격통제장치를 시스템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므로 그 발달과정을 주로 안정장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나. 1세대 사격통제장치

그림 2는 1세대 전차용 사격통제장치의 구성도이다.

1세대의 전차는 2-자이로(Gyro)장치라고 불리우는 안정장치를 갖는 전기식 또는 전기유압식 구동장치에 의하여 주포를 방위각 또는 고각으로 안정시킨다.

각각의 閉루프(Closed-loop)에는 자이로가 부착되어 주포의 구동속도를 감지하여 올바른 제어신호를 만들어주며 포수의 LOS는 주포에 종속된다.

이러한 제어장치를 갖추면 주행 중에도 대략적으로 주포를 조종할 수 있으며 사격직전에 잠시 정지함으로써 정확한 조준사격이 가능하였으나 그 안정오차의 표준편차(σ)는 1 Mil 정도로써 만족스럽지는 못하였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b5caf459954100339bbc5c9

주행 중의 사격을 위한 안정장치의 필요성은 영국전차단(Royal Tank Corps)이 처음으로 제시하였고 최초의 실용적인 안정장치로는 2차대전 중 미국의 Westinghouse社에서 제작된 M4 전차에 장착된 것이 있으나 최초의 성공적인 포 안정장치는 1950년대 말 영국육군에 의해 개발되어 당시 새로 선보인 Centurion 전차에 적용되었고 이것이 1세대 전차용 안정장치의 효시가 되었다.

1세대 전차에서의 사거리 측정은 합치식(Coincidence Type) 혹은 실체경식(Stereoscopic Type) 거리측정기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여러가지 형태의 조준기가 사용되었으며 야시장비(Night Vision Equipment)로는 능동적외선변환관(Active Intrared Converter Tube)이 사용되었다. 탄도계산은 탄의 종류와 사거리에 따라 사표(射表)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망원경의 레티클(Recticle, 조준점)을 미리 조정함으로써 초고각 및 선도각을 주었다.

다. 2세대 사격통제장치

전차사격통제장치에 대한 꾸준한 개발노력은 관측, 탄도계산 및 포 구동의 전반적인 분야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림 3과 같은 2세대 전차가 개발되었다.

2세대 전차의 안정은 4-자이로 장치라고 불리우는 안정장치를 갖는 전기유압식 구동장치에 의존하며 포수의 LOS는 주포에 종속된다.

2세대 전차에서는 보통 2개의 자이로(Control Gyro, Hull Gyro)를 차체의 각속도(角速度)에 따라 응답하는 피드포워드 개開-루프(Feed-foward Open-loop)에 추가로 사용하여 고각 및 방위각 구동에 대한 예비명령을 주어 포를 안정시키며 1세대 장치에 비하여 그 응답속도가 매우 빨라(σ : 0.5 Mil 정도) 주행 중의 포 조준을 가능하게 하였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4d5da5459a05440239bbc5c9

이러한 안정장치는 1950년대 말 미국에서 포 안정에 대한 관심이 부활된 후 1962년에 Cadillac Gage社에서 처음 시범을 보였고 1969~1970년에 당시 독일과 벨기에 육군이 보유하고 있던 Leopard 1 전차를 개장하는데 사용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미 1차대전시 대공용으로 개발되었던 기계식 탄도계산기를 전차에 도입됨으로써 수 종의 탄도영향요인(Ballisic Factors)이 고려되었고 초고각 및 선도각이 포수조준기에 자동적으로 전달되어 1세대 전차에 비해 사격을 위한 예비시간이 매우 짧아졌다.

또한 광학을 이용한 주변 기술의 발달로 조준기와 사거리 측정기의 성능은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야시장비로는 초기단계의 영상증폭기(Passive Image Intensifier)가 개발, 응용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차의 전투능력은 크게 신장되었다.

라. 3세대(방향지시기형) 사격통제장치

3세대 전차의 기능형 구성도는 그림 4와 같으며 서독의 LeopardⅡ와 같은 최신형 전차가 여기에 속한다.

3세대 전차의 안정장치로는 1960년대 중반 미국과 서독이 공동으로 추진하였던 MBT-70 계획의 하나로 미국 General Motors社의 Delco Electronics Division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고, 그 후 수정된 XM803 계획에 적용, 광범위한 시험을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된 방향지시기형 안정장치(Full-director Type Stabilization System)가 사용된다.

그 원리는 포나 포탑보다 질량이 작은 조준기를 일차적으로 안정시키고 여기에 전기유압식으로 구동되는 포를 종속시킨다는 것이다. 이 장치가 포 자체의 안정을 개선한 것은 아니나, 독립되어 안정되는 조준기(σ : 0.1 Mil 이내)를 채택함으로써 주행 중의 표적탐지, 식별 및 조준능력을 크게 개선하였으며 비로소 주행 중의 사격이 가능하게 되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752af119c06435039bbc5c9

그리고 레이저 거리측정기(Raser Rangefinder)의 개발은 정확한 사거리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야시장비로는 보다 성능이 향상된 MCP 영상증폭기(Micro-Channal Plate Image Intensifier)가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한 열상장비(TIS : Thermal Imaging System)가 개발되어 LeopardⅡ, M1 Abrams와 같은 전차에 장착됨으로써 전천후 작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의 급속한 전자기술의 발달은 전차사격통제장치에 전자계산기(Electronic Computer)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전자계산기의 도입으로 거의 모든 탄도영향요인들이 수동 혹은 자동으로 탄도계산기에 장입되었고 주포는 계산된 초고각 및 선도각만큼 떨어져서 별도로 안정된 LOS에 종속됨에 따라 3세대의 전차는 주행 중에도 높은 명중률을 갖고 사격할 수 있었다.

전자계산기는 사거리, 표적상대속도(Lead) 등 자료(Raw data)를 이용한 탄도계산 뿐 아니라 사격통제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게 되었으며 3세대 전차에 다양한 기능과 충분한 발전잠재력을 부여하였다. 3세대 전차에서 최근의 중요한 진보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사격금지

이것은 독립되어 안정되는 포수 조준기와 관련된 것으로 안정도가 높은 LOS를 기준으로 포신이 일정치 이상으로 벗어날때 사격이 금지된다.

이와같이 LOS와 관련된 Electronic Window 내에서만 사격함으로써 안정오차는 변하지 않으나 사격오차는 제거된다.

Coincidence Firing은 1960년대 중반에 초보적인 방향지시기형 장치를 갖춘 스웨덴의 포탑 없는 S전차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안정화된 조준기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Coincidence Firing은 요동에 의한 사격오차의 표준편차를 0.2 Mil 이내로 간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LeopardⅡ에 장착되어 시범을 보였다.

그림 5에서는 진보된 사격통제장치를 갖춘 전차가 2.3 x 2.3m NATO 표준표적에 고속탄을 발사할 경우 거리에 대한 이론적인 단탄명중률(Single Shot Hit Probability)을 나타낸다.

거친 노면이나 정지 또는 주행상태에서 세가지 종류의 사격통제장치를 갖춘 전차의 요동에 대한 표준편차(σ)는 각축(各軸)에 대하여 1세대 전차는 1.0 Mil, 2세대 전차는 0.5 Mil, Coincidence Firing을 갖춘 3세대 전차는 0.2 Mil 이하이다.

그림 5에서 Coincidence Firing을 갖춘 3세대 전차의 명중률은 정지상태와 매우 흡사함을 알 수 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e08af46c953170739bbc5c9

2) 속도보조추적(Rate-aided Tracking)

속도보조추적은 전차가 표적과 상대적인 병진운동(평행이동)을 하면서 표적은 추적/조준하는 경우 전차 자체의 병진운동에 대한 포수의 LOS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보상해 줌으로써 포수로 하여금 표적운동의 변화량만을 보상하도록 하는 것으로 단순한 2축 안정 이상의 진보를 의미한다.

Rate-aiding 개(開)루우프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포수의 LOS와 직각방향에 대한 전차의 속도뿐 아니라 병진운동 상의 외란을 감시할 가속도계 형태의 보충 감지기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자료처리(Data processing)도 하게 되는데 이것은 최근에 전차에 사용되는 디지털 사격통제계산기(Digital Fire Control Computer)에 의해 가능하다.

MBT70/XM803은 Delco Electronics社에서 개발된 속도보조추적을 채택한 최초의 전차로서 그 성능시험에서 Rate-aiding에 의해 추적 및 조준오차는 1/2 이상 감소된 걸로 판단되었다. 속도보조추적은 최근 Leopard 2에 채택되었으며 다른 전차의 사격통제장치에도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2. 구성장비

전차사격통제장치는 통상 탐색/추적 장비로서 사거리측정기와 야시장비를 내재하고 있는 조준기와 사격통제계산기, 그리고 포구동장치로서 전기식 또는 전기유압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전차사격통제장치의 구성장비와 그 특성, 또한 최신형 전차인 M1 Abrams와 Leopard 2의 사격통제장치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가. 탐색 및 추적장치

1) 조준기

1940년 이전에는 전차에 관측을 위한 별도의 통로가 없었으며 대원은 미리 준비된 관측용 흠을 이용하거나 해치를 열어야 하였고 이는 전차의 큰 취약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최초의 전차용 관측장비는 1940년 미육군에서 사용한 전망경(Periscope)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 배율을 추가하고 대전차 레티클을 표시하여 사용하였다.

2차대전 후에 등장한 선도각 계산 조준기(Lead Computer Sight)는 움직이는 표적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으로 계산된 선도각(Lead Angle)이 포수용 망원조준기(Telescopic Sight)에 장입되었고 필요한 초고각은 사거리측정기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되었다.

그후 전자계산기가 도입되어 사거리 및 표적 상대속도와 같은 정보가 감지기로부터 직접 계산기에 전달되어 탄도계산에 이용됨에 따라 조준기는 표적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조준기의 레티클은 중앙에 고정되었고(Fixed Reticle), 최근에는 정밀한 안정장치가 부착되어 표적추적능력은 더욱 향상되었다.

최근의 전차조준기는 주포에 앞서 1차적으로 안정되고 각종 야시장비 및 사거리측정기를 갖추고 있으며 3~5X의 탐색용과 8~12X의 추적용 두가지 배율을 갖고 있다.

또한 Leopard 2와 같은 전차에서는 전차장에 의해 작동되고 포수의 LOS와 안정되며 필요에 따라 포수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360˚ 관측이 가능한 전차장용 조준기(Commander's Paranomic Sight)를 장착하여 전차의 전투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림 6은 미국의 Texas Instrument에서 전차용으로 개발된 조준기이며 열상장비와 레이저 사거리측정기를 갖추고 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4c59fb419d0b440639bbc5c9

2) 야시장비

1차대전 후 세계 여러나라가 야간전투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위한 장비에 관심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전자영상분야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2차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는 효율적인 야시장비가 개발되지 않았고, 따라서 빛을 비추거나 형광장치를 이용하여 야간작전을 수행하였다.

2차대전 중 적외선을 이용한 장비가 사용되기는 하였으나 근대적인 야시장비는 1950년대에 적외선영상변환관(Intrared Image Converter Tube)이 나온 후에 널리 보급되었다.

그러나 이 장치는 감도가 낮아 별도의 적외선 조사장치가 필요하여 사용하기 불편하였으며 특히 군사적인 응용에 있어 동일한 장비를 갖춘 적에게 탐지된다는 치명적인 결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열전자 방출이 적고 감도가 좋은 광전음극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고,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에 걸쳐 수동 영상증폭장치가 출현하였다.

수동야시장비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Tri-akali 광전음극과 Fibre-optic Window의 개발이며 이 장치는 열전자 방출이 적고 적색광 및 적외선에 대한 감도가 높아 별빛 정도의 밝기에서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이득이 낮아 조준에 필요한 10,000 정도의 이득을 얻기 위해서 수 개의 증폭관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다소 크고 무거웠고 상이 퍼지는 현상이 있었으며 밝은 빛에 약해 이에 대한 보호장치를 별도로 갖추어야 하였다.

1970년대의 MCP(Micro-Channel Plate)의 개발은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였고 별빛이나 달빛 정도의 밝기에서 작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오늘날 많은 전차가 이 기술을 이용한 야시장비를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온도분포에 따른 열상장비가 개발되어 Leopard 2, M1 Abrams와 같은 최신형 전차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야간뿐 아니라 안개, 연기 등의 악조건 하에서 작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림 7은 군용 야시장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CMT 열상장비의 기능도이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4a5ca5129d02460939bbc5c9

3) 사거리측정기

최초의 사거리측정기로는 1898년 해군용으로 개발된 Stadiameter가 있다. 이것은 표적의 높이 및 크기에 관한 정보로부터 거리를 알아내는 기계식 장치로서 소련의 전차에 응용되었으나 거리에 따라 그 측정오차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 다른 사격통제부속장치의 발달로 더욱 정확한 사거리측정장치가 요구됨에 따라 20세기 초에 합치식 및 관체경식 거리측정기가 개발되었으며 이 장치는 계속 성능이 보완되어 현재까지 전차에 응용되고 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4f0fae199d54410639bbc5c9

그림 8은 합치식 거리측정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합치식 거리측정기는 표적의 상을 합치시키기 위하여(그림 8-a) 움직인 거리(그림 8-c에서 WM과 X와의 거리)는 표적거리에 따른 角m과 관계있다는 원 리에 근거한 것이다.

합치식 거리측정기는 단안용 장치로서 미국의 M48A2와 M60A1, 스위스의 Pz61/68 및 프랑스의 AMX-30 전차 등에서 전차장비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단히 크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 변화, 특히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잦은 교정이 필요할 뿐 아니라 빠른 표적의 거리를 측정하기 어려웠으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측정오차가 증가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60cab459c501e5239bbc5c9

관체경식 거리측정기는 쌍안용 장치로서 사람이 시각에 의해 거리를 판단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거리를 측정한다. 그림 9-a와 같이 사람은 물체Ⅰ,Ⅱ,Ⅲ의 거리에 따른 1,2,3의 위치에 의해 거리를 판단한다.

관체경식 거리측정기에서는 정도를 기하기 위하여 고정 레티클을 사용하고 그 대신 그림 9-b와 같이 프리즘이 움직인 거리(R)로 부터 표적거리를 알아낸다.

관체경식 거리측정기는 작고 빠른 표적에 대한 사거리 측정이 가능하고 시계가 좋지 않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외에는 합치식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게다가 완전한 쌍안시력이 요구되었고 훈련이 어려웠다.

이와같은 광학 거리측정기는 상당히 오랫동안 여러나라의 전차에 응용되었으나 소련, 영국과 같은 나라는 이러한 광학장비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며, 소련은 주로 Stadia식 거리측정기를 사용하였고, 영국은 Centurion, Chiften 등의 전차에 RMG(Ranging Machine Gun; 조준포, 축사포)를 사용하였다.

RMG는 포수가 계산선 내에 있는 특별한 위치 측정표식을 표적 상에 일직선으로 놓고 12.7mm를 수차 점사하여 탄착점을 확인함으로써 사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일부 탄도영향표인이 자동적으로 고려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능동장치이므로 적에게 쉽게 노출되고 MG탄의 비행시간 거리로 인하여 측정시간이 많이 걸리며(2,000m 사거리에서 4.3~4.5초), RMG 자체의 사거리에 한계가 있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2차대전 후 기존 사거리측정기들의 결점이 명확히 드러나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되었는데 주로 삼각법 또는 펄스에너지(Pulse-of Energy)를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주목할만한 것으로는 1950년대 초에 미국에서 시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레이더 거리측정기 개발 계획이 있다. 비록 이 계획이 표적 주위물체에 의한 반사파(Ground Object Reflection) 문제로 실패하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에너지의 발산에 관한 연구는 지속되어 마침내 레이저 사거리측정기(Laser Rangefinder)가 출현하게 되었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c5daf18cc021e0939bbc5c9

그림 10은 NdGlass 레이저 사거리측정기의 기능별 구성도이다. 레이저는 파장이 짧아 투과력이 약하므로 전천후 장비는 아니나 기존 사거리측정기 대부분의 약점을 해결하였다. 레이저 사거리측정기는 미국, 영국, 프랑스, 스웨덴, 및 일본의 전차에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새로 개발되는 전차에 적용될 뿐 아니라 기존 전차의 사거리측정기로도 상당히 개장되고 있다.

전차에 응용하는데 있어 레이저 사거리측정기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크기가 작다.

전력 소비가 적다.

야간에도 사용가능하다.

경제적이다.

사용하기 쉽고 측정시간이 짧다.

사수의 안정화된 조준기를 통해 발사할 수 있다.

나. 탄도계산장치(Ballistic Computing Device)

초기의 전차에서는 측정된 사거리와 사표를 이용하여 사격을 하였고 이에 만족하여야 했다. 그러나 사격통제를 위한 여러 부속장비가 점차 발달하고 특히 2차대전 후 비교적 정확한 사거리측정기가 사용되자 캔트(Cant) 등의 2차적인 요인에 의한 오차를 무시할 수 없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탄도계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1952년에 등장한 미국의 M47 전차는 2차대전 후의 기술이 적용된 최초의 전차로서 정밀하게 제작된 캠(Cam)을 이용하여 사거리에 따른 초고각을 주었으며 그 후 M48, M60 전차에는 보다 개량된 형태의 기계식 탄도계산기(Ballistic Computer)인 M13AID가 장착되었다.

M13AID는 6개의 탄도계산용 캠(Ballistic Cam)을 가지고 있었으며 탄종에 따른 수정이 가능하였으나 포의 고각을 결정하는데 거리만 고려되었고 방위각에 대한 영향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사격은 여전히 힘들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1956년 미국에서는 M60 전차에 장착하기 위한 XM16 전자 탄도계산기(Electronic Ballistic Computer)의 개발에 착수하였다.

XM16은 이전의 탄도계산기와 달리 방위각 및 고각에 대하여 거의 모든 탄도영향요인에 대한 수정능력을 갖고 있었으며 또한 탄종에 따른 보상이 가능하였다.

더욱이 1960년대 이후의 급속한 전자기술의 발달은 전자계산기의 광범위한 응용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성능은 계속 향상되어 이제 전차에 장착된 전자계산기는 단순한 탄도계산기능뿐 아니라 사격통제장치 전반의 기능을 관할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에 등장한 미국의 M1 Abrams 혁신적인 디지탈 탄도계산기가 도입되어 전차사격통제장치는 신뢰성(Reliability), 융통성(Flexibility)이 증가하였고 큰 발전잠재력(Growth Potential)을 가지게 되었다.

그림 11은 Control Data Corp.社가 개발한 M1 Abrams용 사격통제계산기의 모습이며 그림 12는 M1 Abrams 사격통제장치의 기능별 구성도이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b0ba419cf02455539bbc5c9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1b0ef9109800450639bbc5c9

다. 포 안정 및 구동장치

전차포 구동장치로는 전기식 또는 전기유압식 서보장치가 있으며, 현재는 유압소자의 무게가 더 가볍기 때문에 전기유압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유압방식에 사용되는 유제는 미세하게 정제되어야 하고 저온에서 동작할때 예열시간이 필요하다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1973년 중동전 이래 고압력 유압장치를 갖는 전차의 취약에 대해 상당한 의견이 모아졌다.

전기식 구동장치는 중량은 크지만 매력적인 대안책이며 이미 영국과 일본의 전차에 사용되고 있다.

전차용 이축 안정장치는 방향지시기형 안정장칭 큰 진보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전차포 안정의 최종단계인 "표적에 대한 안정장치" 즉, 자동추적장치(Automatic Tracking System)의 실용화가 연구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추적은 표적을 둘러싸는 Gate 또는 Window를 전자적으로 발생하여 Video Tracker로 추적하는 것으로서 그 동작은 그림 13과 같다.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d8efa11d02831ee99512b64ee64d67099c224c7064eadc818aaf251814080ed1eed2eb8725e549094134858ab41930b105339bbc5c9

일단 포수가 TV 화면을 통해 Gate를 표적 주위에 고정시키면 그 후에는 표적의 Video 신호가 처리되어 Gate는 자동적으로 표적을 따라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Tracker는 표적위치자료를 사격통제계산기(Fire Cotrol Computer)에 자공하여 사격통제계산기로 하여금 조준기 서보장치를 통하여 LOS를 움직이도록 한다.

일단 자동추적이 시작되면 Tracker는 매우 정확하게 조준선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는 이 장치의 동작을 감시하면 된다.

전차용 자동추적장치의 개발은 1960년대 중반에 미국의 General Electric社에서 시작되었으나 실제로 응용되지는 않았다. 그후 특히 Maverick과 같은 유도 미사일에 전자광학추적장치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는데 그 2~3년후 전차용 자동추적장치가 Delco Electronics社에서 재발견되었다.

이것은 미국의 DARPA(Defenc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서 시작된 ACVTP(Armored Combat Vehicle Technology Program)의 한 분야로서 HIMAG(High Mobility/Agility) 시험차량을 위한 정교하고 여러 통제방식을 갖는 사격 및 포 통제장치의 일부분이다.

이 HIMAG 장치는 전차용 자동추적장치의 운용성을 증명하였을 뿐 아니라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전차용 사격 및 포 통제장치의 상대적인 가치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라. 최신형 전차사격통제장치의 소개

1963년 미구과 서독은 당시 서방측의 전차를 대체할 새로운 전차를 개발하기 위한 MBT70 계획을 공동으로 추진하엿다.

그러나 이 계획은 양국의 국가적 이익의 대립으로 1970년에 취소되었으며, 그 후 양국은 MBT70에서 얻어진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모델의 전차개발에 착수하여 서독은 1979년에 Leopard Ⅱ를, 미국은 1981년에 M1 Abrams를 실전배치하게 되었다.

Leopard Ⅱ는 당시 최신의 전차제조기술을 종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방향지시기형 사격통제장치를 채택하하였으며 성능시험에서 그 정교함과 우수성이 입증되었고, 자체시험(Built-In-Test) 기능의 보유 등을 비롯하여 정비유지에 상당한 진보를 보여주었다.

M1 Abrams는 XM803이 취소된 후 1973년에 개발착수된 것으로 특히 비용-성능 관계를 최적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졋으며 디지탈 사격통제계산기를 비롯한 혁신적인 기술을 전차에 도입하였다.

Abrams와 Leopard Ⅱ의 사격통제장치는 현대 전차의 사격통제장치의 특성을 대변하고 있으며 그 주요 성능특성은 표 1과 같다.

ERROR

The Forsterite's portal does not exist.


오류: Forsterite 사용자의 포털 페이지가 존재하지 안습니다. 이용 안내를 참조해 포털 페이지를 작성하세요.


이용 안내

  1. portal:forsterite ( 11 Sep 2020 02:5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