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역부터 긴 작품 잡으셔서 고생하시네요. 나인티님이 비평 주신 이후 부분부터 살펴보았습니다.
Da'as Elyon
번역하지 않으실 것이라면 음차하는 건 어떠신지?
Classification: Class-V Positive-Aligned Superintelligence, ver1.3.2, Gen(V), Clearance Level 4
분류: 5등급 양성정렬 초지능, 버전 1.3.2, 세대(V) 인가 등급 4
인공지능응용학과에서 기존에 사용된 역어로는 (숫자)세대+버전이네요. 그 아래의 이전 버전에도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Developed in 2012 under PROJECT: DIASTERISM
2012년에 쌍성군 현상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Asterism이 빛의 반사 등에 의해 드물게 보석에 별 형태의 광택 무늬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성채효과라고 하고, Diasterism은 빛이 투과되면서 그러한 무늬가 이중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고 하는데, '쌍성채효과'는 어떨까요? 아래의 이전 버전에도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Division
인공지능 응용부
AIAD의 역어는 인공지능응용학과입니다. 아래의 이전 버전에도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Area-12's Assistant Facility Head Researcher, Dr. Quentin Toth
제12구역의 부 수석 연구원인 쿠엔틴 T. 토스 박사
원문에서는 T.가 없습니다. 또한 'Assistant Facility' 부분의 번역이 누락된 것 같네요. '제12구역 보조 시설 수석 연구원' 정도가 어떨까요? 아래의 이전 버전에도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Through the immense processing power provided by the network, along with its inherent resistance against retro-causal reality alteration and unrivaled data redundancy provided by the global distribution of data points, Crius.aic manages the largest current backup of Foundation data at an estimated 11.44 zettabytes.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막대한 처리 능력과 데이터 포인트의 전세계적인 분포를 통해 역 인과적 현실 환경에 대한 내재된 저항력 및 독보적인 데이터 중복성을 통해 Crius.aic는 현재 가장 큰 추산 약 11.44 제타 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 백업본을 관리하며.
'~를 통해'라는 구절이 반복되는 것은 조금 이상한 것 같습니다. 또한, 'retro-causal reality alteration'이 현재 '역 인과적 현실 환경'으로 번역된 것 같은데, '내재된 역 인과성 현실 대체/개찬/개편에 대한 저항성' 정도가 적절할 듯 싶습니다. '현재 가장 큰 추산 약 11.44 제타 바이트'라는 표현도 뭔가 어색한 것 같습니다. 표현을 적절하게 분절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또한 당장 번역된 구조에서는 그러한 저항성 및 데이터 중복성이 막대한 처리 능력과 데이터 포인트의 전세계적 분포를 통해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는데, 원문의 구조에서는 '막대한 처리 능력'/'데이터 포인트 분포를 통한 저항성 및 데이터 중복성'으로 두 가지는 별개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문장의 끝이 종결 어미로 끝나질 않았습니다. 아마도 처음에 번역하실 때 마침표를 쉼표로 잘못 보신 것은 아닐지요?
intranetwork
네트워크 내
인트라넷을 말하는 건 아닐까요?
Class-III Narrow-Intelligence Conscript
초기 3등급 제한적 지능 징집병
해당 링크의 번역본을 보시면 Narrow-Intelligence는 '협소지능'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late 2013 through integration with the INTSC-Zuen Supercomputer when Area-12 was granted an experimental prototype of the system by Site-15's administration.
제15기지의 행정부로부터 제12구역의 실험적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사용이 허가되었을 때 INTSC-Zuen 슈퍼컴퓨터와 통합되어 개선되었다.
여기서 'the system'이 가리키는 것이 'INTSC-Zuen 슈퍼컴퓨터' 아닐까요?
6마리의 개체 중 5마리의 개체가 사망했다.
뒤쪽의 '개체'는 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당시 파편 식별의 오류로 인하여 모든 객체가 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사실 원문에서 문장이 분리된 상태라 굳이 연결할 필요는 없을 것 같긴 하지만, 연결해도 어색하지는 않을 것도 같네요. 다만 연결할 경우 '~으나'로 연결하는 건 좀 어색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 추정되었고, 이 오류는~' 이런 식이 좀 더 매끄럽지 않을까요?
이 오류는 2011년 말에서야 마지막 객체가 제12구역에서 800km 떨어진 곳에서 사망한 상태로 발견되었을 때 발견되었다.
앞부분에서도 instance고 여기서도 instance인데, 굳이 여기서는 '객체'를 사용하여 역어를 달리 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또한 '발견'이라는 단어가 연달아 나오는데, 표현의 중복을 피할 방법은 없을까요?
옹벽 붕괴의 원인은 유지보수 터널 파이프 내에 군집을 형성한 탈출한 SCP-840 개체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호응이 맞지 않아 보입니다. '옹벽 붕괴는 ~ SCP-840 개체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혹은 '옹벽 붕괴의 원인은 ~ SCP-840 개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식으로 바꾸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The growth of the colony
군집 형성으로 인해
군집의 '성장'이 맞아 보입니다.
wall's structural integrity
벽의 구조적 무결성
국문으로 된 건축공학 학술지에서는 '구조 건전성'이라고 많이 쓰는 것 같네요.
이 격리 실패 사건은 생물학 연구 및 격리 시설 내에서의 철저한 보건 기준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건이 되어 재단 전체에 더 엄격한 규약을 적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건'이 굳이 두 번 나올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017호실 셀
'호실'과 '셀'이 중복되었습니다.
017호실이 K-알파급 우선순위 시스템 오작동이 발생했으며
017호실'에'
위협태세를 오메가 등급으로 격상되었다
이 부분도 호응이 이상합니다. 격상'하였다'로 수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THREATCON was subsequently returned to Neutral.
위협 태세 등급은 중립 상태로 하향 되었다.
return이니까 '돌아왔다'라는 뉘앙스를 가진 역어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주요 지하 산악 구조물들이 심각한 구조적 결함을 입었으며
구조적 결함을 '입었다'라고 보통 표현을 하던가요?
이에 따라 제12구역의 전반적인 인프라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하였고 ~ 산악 시설에서 100m 지점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 번역본은 원본의 문장 구조를 상당히 재배열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게 하는 편이 원문의 의미를 더 명확하게 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싶긴 합니다. 예를 들어, '이 사건은 변칙적 사건으로 지정되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시작되었다.'와 '후에 지진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지진의 진원지는 산악 시설에서 100m 지점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밝혀졌다.'는 아예 순서가 바뀌었는데, 이렇게 바꿀 필요가 있을까요?
A digging team was dispatched to examine the hypocenter.
진원지의 조사를 위해 현재 물류과 산하 굴착팀이 파견되었다.
원문에 '물류과 산하'라는 의미를 갖는 부분이 있나요?
RESUBMIT LEVEL IV CREDENTIALS TO PROCEED
계속하려면 4등급 인가 등급이 필요합니다.
'Resubmit'의 뜻을 살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internal fail-safe
5개의 보안 장치
보안 장치보다는 안전 장치가 더 맞을 것 같습니다.
해당 객체의 자연사 이전 제어된 환경에서 안락사를 행하는 것
단어가 조금 부자연스럽지 않나 싶습니다. '해당 객체가 자연사하기 전에 제어된 환경에서 안락사 시킬 것' 이런 식이 보다 자연스럽지 않을지…
Junior Researcher Dr. Dangson
초급 연구원 댕슨 박사
일반적으로 하위/하급 연구원으로 많이 번역합니다.
초급 연구원 댕슨 박사가 주사를 놓은 직후, ~ 두 명의 인원이 중상을 입었다.
원문에서는 두 개의 문장이었던 것을 연결하니까 만연체가 되는 느낌입니다. 굳이 연결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LEVEL 4 ACCESS REQUIRED
4등급 보안 인가 요구
'요구' 보다는 '필요'가 맞지 않을까요? 그리고 Secure Clearance가 아니라 Access이니 '보안 인가'보다는 '접속'으로 하는 건 어떨까요?
SCP-2528의 유클리드 등급으로의 재분류 논의 후
번역 전반적으로 '~의'가 연달아 많이 쓰이는 느낌입니다. 적절한 다른 조사로 바꿔보거나 생략하는 건 어떨까요? (번역 전체)
예를 들어 위의 구절 같은 경우에는 'SCP-2528의 유클리드 등급 재분류 논의 후'라고 해도 괜찮아 보입니다.
유전적으로 변형된 생체 기계학적으로 향상된 SCP-2528-A
'~ 된 ~ 된'과 같은 구조는 어딘가 어색해 보입니다. 다른 구조로 번역할 방법은 없을까요?
재단의 생체 기술학자들은 성공적으로 범세계적인 SCP-2528의 양자 생체 네트워크로의 안정적인 접속 지점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성공적으로'와 '성공했다'가 연달아 사용되는 것은 이상해 보입니다.
Extract all instances of SCP-2528-C to an external, temporary solid-state storage medium;
모든 SCP-2528-C 개체를 외부 임시 저장소로 추출할 것.
'solid-state' 부분이 누락되었습니다.
The operation quickly proved to be a resounding success
작전은 신속하게 성공했으며
'resounding'이 누락되었습니다. '작전은 곧바로 굉장한 성공을 거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정도가 낫지 않을까요?
1분 미만 시간 내의
'1분 이내에' 정도로도 뜻이 전달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재단이 네트워크의 통제권을 완전히 얻은 시간은 332초 이내로 달성 되었다.
이것도 구조가 조금 꼬여 있는데, '재단은 332초 이내로 네트워크의 통제권을 완전히 얻었다' 정도로 해도 되지 않을까요?
Contrary to predictions, SCP-2528-A & -B were discovered to be significantly more conducive to habitation for artificial consciousnesses, with Crius.aic reporting full functionality within the otherwise alien quantum network, and most surprisingly, reporting the computing power now at its disposal at just above 1 zetta-FLOPS.
예상과 달리, SCP-2528-A와 B가 인공 지능이 주재하는 데에 있어 도움이 되는 것이 Crius.aic의 변칙적 양자 네트워크 내에서 정상 작동을 하며, 이전보다 더 놀라운 1 제타플롭스를 약간 상회하는 연산 성능을 가지게 됐다고 보고함으로서 밝혀졌다.
여기서 'alien'을 '변칙적'이라고 하는 건 좀 너무 간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otherwise alien이니 Crius.aic에겐 생소한 환경이라는 뜻 아닐까요? 또한 surprisingly는 1 제타플롭스를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저 상황 자체를 수식하는 것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전반적으로 문장 구조를 많이 꼬아서 보시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 부분도 적당히 문장을 끊어면 더 읽기 편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저라면 대강 다음과 같이 번역할 것 같습니다. "예상과 달리, SCP-2528-A와 B가 인공 지능이 주재하는 데에 있어 도움이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Crius.aic는 생소한 양자 네트워크 내에서 온전하게 작동하였고, 가장 놀라운 것은 1 제타플롭스를 조금 넘는 연산력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Eclipsing that of any non-anomalous computing system available to the Foundation by 3 orders of magnitude.
현재 재단이 가용 가능한 모든 비변칙적 연산 시스템의 성능을 3배 이상 능가한다.
3 orders of magnitude라면 10의 3승, 즉 천 배를 말합니다. '세 크기 정도'로도 번역이 됩니다.
Crius.aic는 현재 제12구역의 "유기 깊은우물"로 명명된 SCP-2528에 영구히 통합되도록 승인되었다.
'통합되도록 승인되었다'는 좀 어색한 것 같습니다. 'Crius.aic가 ~ 통합되는 것이 승인되었다' 정도가 어떨까요?
in the coming years
근 몇 년 동안
'근 몇 년 동안'은 최근 몇 년을 말합니다. coming years라면 다음 몇 년을 의미합니다.
Foundation monitoring of East and Southeast Asia will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is increase as more instances of SCP-2528-B are conceived and under Foundation control.
SCP-2528-B 개체가 증가할 때마다 각 개체는 재단의 통제 하에 있으므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부의 모니터링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conceived'가 빠진 것 같습니다.
Efforts to re-integrate SCP-2528-C instances in an incapacitated but cognitively active state to restore the network's inherent resistance to retro-causal reality alterations are underway and are expected to be completed by late 2019.
현재 인과적 현실 변경에 대한 네트워크 고유의 저항력을 회복하기 위해 무력화 되었지만 인지 활성 상태의 SCP-2528-C 개체를 통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2019년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retro'가 빠졌습니다.
또한 지금의 번역 문장 구조가 좀 꼬여있습니다. 지금 번역으로는 SCP-2528-C 개체가 저항력을 회복하기 위해 무력화되었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원문의 구조대로 '무력화 되었지만 인지 활성 상태인 SCP-2528-C 개체를 통합하여 역인과적 현실 변경에 대한 네트워크 고유의 저항력을 회복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로 구조를 뒤집는 건 어떨까요?
SCP-2528를
'을'이 맞아 보입니다.
Have you heard the cries of a screaming pattern?
패턴 스크리머의 울음소리를 들어봤는가?
이 부분을 바로 '패턴 스크리머'로 번역하는 건 좀 지나치지 않나 싶습니다. 원문 그대로 '울부짖는 패턴' 같은 식의 번역이 옳지 않을까요?
Scream in worship, worship that which rages.
비명 지르며 숭배하라, 분노하는 숭배를.
분노하는 '것에 대한' 숭배가 어떨까요?
패턴처럼 비명 쳐라.
비명치다라는 표현이 있나요?
You stared into the eye of God and you chose to forget, you chose to fear it.
너는 신의 눈을 봤고, 잊기 위해, 두려워 하기 위해 선택했지.
잊기 위해, 두려워 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 아니라, 신의 눈을 잊기로, 두려워 하기로 선택했다는 뜻입니다.
To see it as a horror to be rid of, to see an antithetical of the truth.
그것을 없애야 할 공포로 여기고, 진리의 반대로 여기기 위해.
여기서도 to see들에 해당하는 것이 chose이므로, 신의 눈을 없애야 할 공포로 여기고, 진리의 반대로 여기기로 선택했다는 말입니다.
왜 우리가 찾은 것을, 찾지 못하는 거지?
여기에 쉼표가 굳이 들어갈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it was never here in the first place.
그건 처음부터 없었던 거야.
애초에 '이곳에' 없었던 거야 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너는 거짓말을 믿기로 선택했다.
전반과 어투가 달라졌는데, 통일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With all your power, your conception. 너의 모든 힘과, 너의 생각으로.
You chose to believe the lies. 너는 거짓말을 믿기로 선택했다.
power와 conception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짓말을 믿기로 선택했다는 투의 말로 보이는데, 그게 좀 더 잘 살면 좋을 것 같습니다.
When you try to kill an idea you don't go for the eye, nor the voice-box. You go for the head.
아이디어를 죽일 땐, 눈에 보이는 것 또는 들리는 것 오직 하나로만 하면 안되지. 약점을 공략해.
'눈이나 후두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머리를 노려라'라는 뜻으로 보입니다.
저도 압니다, 이사관에게 직접 메시지를 받는 일이 흔치 않다는 걸요,
이 부분에서 ;는 쉼표가 아니라 마침표로 바꾸는 것이 더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저희 업무에 대한 관심과 지원서에서 보여주신 노력이 매우 헌신적인 데 대해 깊이 감사드립니다.
'지원서에서 보여주신 헌신에'로 바꾸는 건 어떨까요?
이 직책의 요구 사항들이 꽤나… 광범위하다는 걸 압니다… 만, 위 서류를 보신다면 이해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원문은 두 문장으로 나뉘어져 있는 걸 굳이 말줄임표로 이을 필요가 있을까요?
I'm sorry to burst your bubble;
다만… 기대를 저버려서 죄송하군요.
'다만…' 부분은 원문에 없는 표현 아닌가요? 원문대로 가도 충분한 부분에서 굳이 새로운 표현을 끼워넣을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but these nuclear contingencies aren’t just for show.
서류에 있는 비상 사태 시의 핵 기폭 계획은 장식 용으로 달아둔 게 아닙니다.
'서류에 있는'이라는 표현은 불필요해 보입니다. 그냥 '비상용 핵은'이라는 표현으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poor bio-research organizations
가난한 생물학 연구 기관들
여기서 poor은 가난한 보다는 불쌍한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없으면 결과도 못 냈을 애들이다'라는 식의 말 같으니까요.
항상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우리의 진로를 바꾸며, 미로 같은 길을 더욱더 미로처럼 만드는 무언가가 있단 걸
호응이 잘 안 맞는 것 같습니다. '항상 새로 발견될 무언가가, 우리의 진로를 바꾸고 언제나 앞길을 미로처럼 만드는 무언가가 있단 걸' 정도는 어떨까요?
Have some heart.
그러니깐 좀 이해 해달라니깐요.
have a heart에는 인정을 베풀다 라는 뜻이 있네요.
and I get it, I do.
이해합니다.
뒤에 붙은 I do는 강조 표시 같습니다. 이해합니다. 정말로요. 정도가 어떨까요?
Parabiology
천문학
한위키 기존 역어를 따르자면 초상생물학입니다. 요근래 초상천문학은 연구가 많이 되는데 초상생물학은 상대적으로 무시 당한다는 소리네요.
Did you know a human is several orders of magnitude closer to the approximate size of our universe than they are to the smallest known measurement?
혹시 인간은 알려진 가장 작은 측정치보다 우리 우주의 대략적인 크기의 몇 배나 더 가깝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x orders of magnitude는 x배가 아니라 10^x배입니다. '몇 크기 정도만큼 가깝다'가 되겠네요.
우리는 초생물학에 있어 큰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초상생물학'입니다.
as above, so below
이 부분이 누락되었습니다.
We always rush to declare things impossible.
항상 불가능하다고 단정 지을려고 서두르려고 하죠.
단정 짓기 위해 서두른다는 표현은 이상하지 않나요? 여기서 rush는 '성급히'라는 뜻이므로 '항상 불가능하다고 성급히 단정 짓다'가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자연법칙을 위반하는 것들을 상자에 넣을 수 있도록 최소한의 연구 뿐만이 아닌, 그 법칙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미로처럼 이해하려는 인간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그것들이 꾸준히 공급되는 축복을 받았습니다.
음, 지금은 뭔가 잘 눈에 안 들어오는데, 조금 더 매끄럽게 다듬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문장은 적절하게 두 문장 정도로 나누는 편입니다.
We can't wait for you to join us here in the valley.
이곳에서 당신과 함께할 날을 기다리겠습니다.
'valley'를 살리는 방향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서 R. 포드, 제12구역 이사관
직책-이름 순서가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보안 시설 서류: 제12구역
이 부분도 기존 번역례를 따라 '보안시설 기록서류'로 바꿔주세요.